Player&Source

[설정편] OPPO 105D 권장 설정치

마이다스77 2016. 4. 16. 08:47



처음 사용하는 기기의 경우 가장 곤란한 점은 '도대체 설정을 어떻게 해야 좋을까?' 일겁니다.

OPPO 105D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는 메뉴 종류도 다양하고 설정값들이 뭘 의미하는지 잘 모르는 것들도 많습니다.

더구나 아직 한글 메뉴얼이 없어서 메뉴얼을 정독하는건 너무 큰 장벽으로 다가옵니다.

사용자 마다 기기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 권장 설정값이라는 존재하는지 모르겠으나 일단 적어봅니다. ^^;

이를 계기로 사용자간의 설정치에 대한 정보 공유의 장이 되면 좋겠습니다.



뒷쪽 패널을 살펴보면 각 단자의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.(일부 단자 설명은 생략합니다.)


1. 이더넷 포트 : 유선랜선 연결

2. HDMI Input(Back) : 외부의 HDMI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단자로 외부 신호를 4k 업스케일링 시도를 해볼 수 있습니다.(저는 활용 빈도가 매우 낮았습니다.)

3. 언발란스 스테레오 출력(RCA 단자) : 아날로그 출력단자로 인티앰프나 리시버등의 입력단자와 연결할 수 있습니다.

5. 코엑시얼 디지탈 음성 출력 : RCA와 동일하게 생긴 단자이지만 디지탈 음성 출력을 위한 포트입니다. 

   (4m 이내의 75 ohm 임피던스 규격의 디지탈 케이블 사용 권장, 즉 디지탈용 케이블 사용하셔야 됩니다.)

6. 옵티컬 디지탈 음성 출력 : S/PDIF 규격 단자로 24bit/192kHz 까지 대응. (신호 변환이 적은 코엑시얼 디지탈 음성 출력이 음질에 유리하다고 하기도 합니다.)

7. 발란스 스테레오 출력(XLR 단자) : 주로 방송 장비와 같이 긴 신호선이 필요한 곳에서 많이 사용하는 규격으로 상기 RCA와 임피던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연결하는 기기에 따라서 RCA 연결과 비교해서 음량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(짧은 거리라면 저는 RCA 추천드립니다.)

8. HDMI 2 출력 : Darbee 미적용됨. 주로 오디오용으로 추천

9. HDMI 1 출력 : Darbee 적용. 영상용으로 추천

10,11 USB 2.0 input : 외장 하드나 USB, WiFi 동글 연결 포트

12. IR Signal Input : 리모콘 수신을 위한 IR 입력 단자로 기기를 눈의 띄지 않는 곳에 설치시 유용.

14. 15. 각각 옵티컬, 코엑시얼 디지탈 오디오 입력. 최대 24bit/96kHz 까지 대응. 105D를 DAC로 활용시 사용.

16. USB (Type B) 오디오 입력 : 24bit/192kHz 까지 대응하며, 105D를 DAC으로 활용시 추천.(음질면에서 가장 유리)

17. 7.1ch 아날로그 출력 : 리시버에서 최신 음원 포멧 미지원시 유용. 


주요 용어

1. Bitstream : 
  by pass 하여 디지탈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받아들이는 기기(리시버 등)에 디코딩 기능이 있을 경우 추천.   

  리시버에서 DTS, DD등의 신호를 디코딩.

2. PCM(LPCM) :
  Pule Code Modulatio(펄스 부호 변조)의 약자로 압축률 낮은(?) 무손실 디지탈 신호 정도로 생각. 비트레이트 높음.
  105D에서는 24bit/192kHz 까지 대응.
  PCM 설정을 한다는 것은 105D에서 DTS, DD 등의 신호를 디코딩 한다는 것을 의미.
  리시버에서 최신 음향 포멧(DTS-HD MA, Dolby TrueHD) 지원하지 않을 경우 유용.

3. DSD : SACD 고유 음원 방식으로 리시버에서 반드시 DSD 디코딩 기능이 있을때 선택 가능. (없는 경우에는 PCM 으로 선택후 192kHz으로 설정하면 가장 좋은 음질로 들을 수 있답니다.)


SACD 출력 관련

SACD는 재생시 105D에서 HDMI나 아날로그 출력을 통해서만 들을 수 있습니다. 코엑시얼이나 옵티컬 출력을 통해서는 신호전송이 불가합니다.

따라서 HDMI 출력시 가능하면 영상과 음성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음질면에서 유리합니다.

* 아날로그 출력 사용시 Bass Management에서 스피커 크기를 Large 설정 추천(저음 cutoff 되는 걸 방지)

* 전에는 HDMI 2에서만 DSD 출력이 가능했는데, 펌웨어가 업데이트 되면서 HDMI 1에서도 DSD 출력이 가능해졌습니다. 
  

SACD 재생시 3가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 (1) Multi : 5.0 ch

 (2) Stereo : 2ch

 (3) CD 레이어 : 16bit/44.1kHz 음질 (SACD는 사람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88.2 kHz 이상 음원 수준으로 판단됩니다.)


추천 설정?

1. Set Network Setup -> BD-Live Network Access to Off
 타이틀 재생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, 스튜디오 서버에서 마케팅 위주의 기능이라고 하네요.

2. Device Setup -> Persistent Storage -> Erase Persistent Storage.
 메모리가 가득 차면 BD-live 뿐만 아니라 작동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.

3. Device Setup -> HDMI CEC to Off
  on 설정시 디스플레이를 끄면 플레이어가 꺼집니다.

4. Set Video Setup -> HDMI Options -> Color Space to YCbCr 4:4:4.
     
5. Set Video Setup -> Output Resolution -> 1080p
  디스플레이에서 입력가능한 최대 해상도를 적용하면되며 요즘 대부분 1080p입니다.

6. Video Setup -> Picture Adjustment. 모든 값을 0으로(기본)

7, Video Setup -> TV Aspect Ratio.-> 16:9 Wide/Auto

8. Auto 추천 항목
   Video Setup / 3D Mode
   Video Setup / Output Resolution

9. Audio Format Setup / HDMI Audio -> LPCM (105D에서 디코딩)
 * Bitstream (리시버 디코딩)

10. Audio Processing / Dynamic Range Control -> Off
   영화 볼때 좋다는 분도 있으나 음악 감상시에는 반드시 off 추천


11. Darbee : 40% 이하 추천


사운드 관련 설정은 메뉴얼 중 69-70쪽 참조하시면 좋습니다.